본문 바로가기
유럽전구/동부전선

[동부전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식량위기] 식량생산량 감소와 제국의 위기

by 롱카이. 2022. 2. 16.
  • 전쟁 초반 식량 생산량이 급감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제1차 세계대전 오스트리아-헝가리군
오스트리아-헝가리군

1914년 7월 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을 침공하면서 제1차 세계대전을 시작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목표는 세르비아 왕국을 완전히 점령하는 것이었고 그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국 군대의 높은 사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군 병력의 사기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는 병사들을 배불리 먹이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전쟁 발발 시 식량 보관과 생산은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역시 식량 생산과 보관, 보급을 중요히 여겨야 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그 부분을 철저하게 하지 않았고 1914년 10월 식량 생산량이 40% 감소하면서 비극이 발생했습니다. 전시경제로 전환해 국가의 모든 것을 전쟁터에 투입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제국의 식량 생산량이 40%나 감소했음에도 거의 일정한 양의 식량을 전쟁터로 보냈고 그 피해는 후방의 민간인들이 받았습니다. 심지어 식량 생산량은 계속 감소해 군대에도 식량 보급량을 줄일 수 밖에 없었고 일선 병사들과 후방 민간인 모두 식량 부족으로 굶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 당해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식량 생산량이 1914년 10월 40% 감소하는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습니다.


  • 러시아 제국의 침공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리치아 농장
갈리치아 농장

1914년 8월 전쟁이 시작되자 러시아 제국은 제19계획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갈리치아Galizien을 침공했습니다. 그리고 러시아군은 1914년 10월 갈리치아Galizien을 성공적으로 점령했습니다. 갈리치아Galizien은 비옥한 토양이 있는 곳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갈리치아Galizien에서 곡물과 가축을 집중적으로 생산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식량을 생산했지만 비옥한 토양을 가진 갈리치아Galizien에서 생산되는 식량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역의 식량 생산량의 주류를 차지했습니다. 때문에 러시아군의 침공으로 갈리치아Galizien을 상실한 것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식량 주요 생산지를 잃는 것이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식량 생산량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 농업 인력 부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여성 농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여성 농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제국처럼 전시경제로 국가 경제를 전환했습니다. 이에 따라 성인남성은 모두 군에 복무해 전장으로 투입되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제국과 마찬가지로 공장의 노동자와 농장의 농부 중 남성은 모두 징발했습니다. 때문에 농장은 여성들이 홀로 운영해야 했습니다. 여성들은 온 힘을 다해 농사를 지어 작물을 수확했지만 농사일에 인력이 대부분을 차지하던 시대에 남성과 여성이 함께 농사를 짓는 것보다 여성 홀로 농사를 지을 때 식량 생산량은 감소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여성 농부들은 주변 사람들과 제국의 신민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농업에 뛰어들어 식량을 꾸준히 생산했지만 통계적으로 볼 때 식량 생산량 감소를 막지는 못했습니다.


  • 식량가격 상한제

식량과 소 사료
사료를 먹는 소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주요 작물들의 수요를 통제하기 위해 식량가격 상한제를 적용했습니다. 전시경제로 전환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예전 자본주의처럼 식량을 판매하다가는 주요 식량이 순식간에 소모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전쟁을 하는 상황에서는 모두가 똑같이 식량 배급을 받으며 식량을 최대한 아끼며 전쟁을 버텨야 했기 때문에 자본주의 체계를 잠시 중단하고 베급제를 실시했습니다. 그래서 제국은 원활한 베급제를 위해 식량 가격을 한정했습니다. 이는 농부들에게 피해로 돌아갔습니다. 농부들은 곡물 등 수익이 나는 식량을 주로 생산했는데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자본주의 체제가 중단되고 베급제 경제에 따라 식량 가격에 상한선이 그어지자 더이상 식량 생산으로 수익을 보기 힘들어졌습니다. 그래서 곡물을 생산하던 농부들은 곡물을 사람에게 판매하는 것 대신 가축 사료로 사용하는 것을 택했습니다. 사람보다 더 많은 곡물을 소비하는 가축들은 사람보다 더 빠르게 곡물들을 소비했고 통계에 집계된 곡물 생산량은 빠르게 줄었습니다. 그렇다고 가축을 소비하기에는 베급제에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을 동시에 먹여야 하는 베급제 상황에서는 하루에 수많은 가축들을 도축해야 했는데 가축들은 성장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곡물과 야채보다 매우 느려 가축들은 매우 빠르게 소비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농부들에게 곡물을 사람에게 팔라고 요청했고 농부들은 상한 가격을 올리라고 요구했습니다. 정부는 농부들의 요구들을 애써 무시했다가 1914년 11월 일기예보를 보고 가격을 인상하는 황당한 조치를 내렸습니다.


  • 불안한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14년 10월 전쟁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벌써 식량위기를 겪었습니다. 이에 정부는 비엔나를 중심으로 식량 분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식량 수입원을 찾아나서며 제국의 식량위기를 극복하려 노력했습니다. 허나 정부는 식량 수입원을 찾아내는데 실패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일단 식량베급제를 더 철저히 관리하며 식량을 보존하려 했지만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정부의 어설픈 미봉책은 언젠가 다시 등장할 것이며 그 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그 누구도 장담하지 못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