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전구/인종청소

[인종청소: 아시리아인 대학살] 사이포ܩܛܠܥܡܐ ܣܘܪܝܝܐ

by 롱카이. 2022. 3. 24.
  • 최후의 아람인

고대 아시리아 문명
고대 아시리아 문명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아람인들은 아시리아 제국과 바빌로니아 제국을 건국하며 인류 역사상 가장 고대의 문명을 이룩했습니다. 이후 아람인들은 동방의 이란에서 중흥한 이란 제국에 합병당하며 많은 아람 민족이 이란에 동화되었지만 아시리아 민족은 아람 민족 중 유일하게 정체성을 유지했고 오히려 이란 제국의 지배 하에 민족 정체성을 더 확립해갔습니다. 이후 유럽과 서아시아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아시리아 민족은 동방 교회를 국교로 삼으며 사산 왕조 이란 제국의 지배 하에서 우수한 문화를 이룩했습니다.

아시리아 민족의 태양 문양
아시리아 민족의 태양 문양

하지만 십자군 전쟁과 몽골의 침입으로 아시리아가 이룩한 문명은 파괴되었고 몽골의 일 칸국이 멸망한 후 중동을 지배한 티무르 제국은 카스피 해 인근의 아시리아 민족을 말살했습니다. 이란의 아시리아인들은 티무르 제국의 학살과 말살 정책을 피해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의 아시리아 민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했고 아시리아 민족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 잔존했습니다. 이후 중동의 패자로 성장한 오스만 제국은 밀레트 제도로 아시리아 민족에게 자치권을 보장하며 아시리아 민족은 탄압으로부터 벗어났습니다. 하지만 19세기 전세계에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나면서 아시리아 민족에게는 또다른 위험이 찾아왔습니다.


  • 탄압의 시대

하카리 산의 아시리아인
하카리 산의 아시리아인

아시리아인들은 하카리ܚܟܐܪܝ 산을 아시리아 민족의 성역으로 여기고 하카리ܚܟܐܪܝ 산 주변에 집중적으로 거주했습니다. 아시리아인들은 오스만 제국 치하의 수백년 간 하카리ܚܟܐܪܝ 산 지역에서 자치권을 인정받았지만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연패하며 제국 내에서 기독교 세력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자 기독교 세력인 아시리아인들은 분노해소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제후국인 보탄 에미르국의 쿠르드인 베디르 칸 베그 에미르는 동방 교회 탄압을 명분으로 1843년과 1846년 하카리ܚܟܐܪܝ 산의 아시리아인들을 학살했습니다. 이후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또다시 패배하자 오스만 제국 내에서 제국 내 기독교 세력 말살에 대한 여론이 상승했고 여론을 신봉하던 쿠르드 민족은 1894년 아르메니아인들을 학살한 하미디안 대학살을 일으켰고 하미디안 대학살의 일환으로 디야르바키르 대학살로 아시리아인들을 학살했습니다. 튀르크인들은 쿠르드인의 기독교인 학살을 방관했고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동방 정교회의 수호국인 러시아 제국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 십자가와 월성기

아시리아 교회 십자가
아시리아 교회 십자가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은 서로 민족주의와 종교를 명분으로 영토를 주장했습니다. 러시아 제국은 동방 정교회의 수호국임을 자처하며 이교도 이슬람의 국가인 오스만 제국 압제에 시달리는 아시리아인의 동방 교회와 아르메니아의 사도 교회를 보호할 의무가 있다며 아시리아 민족 국가와 아르메니아 민족 국가 건립을 주장했습니다. 이슬람의 종교적 박해를 받던 아시리아 동방 교회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동방 교회의 수호자인 러시아 제국의 비호를 환영했고 캅카스와 카스피 해에 있던 러시아군은 이교도로부터 기독교를 수호하기 위해 서쪽으로 진격했습니다.

이슬람의 상징 초승달
이슬람의 상징 초승달

오스만 제국은 캅카스 지역과 중앙아시아의 무슬림을 해방시킨다는 명목으로 아제르바이잔 점령을 선포했습니다. 신실한 무슬림이었던 튀르크 민족과 쿠르드 민족은 기독교를 믿는 배교도의 제국 러시아 제국의 탄압을 받는 무슬림 아제르 민족을 해방시킨다며 아제르바이잔 지역으로 진격했고 캅카스 북부와 카자르 제국에서 돌격하는 러시아 제국과 충돌했습니다. 캅카스 전선은 이렇게 시작되었고 오스만군은 러시아군에 대항하기 위해 병력을 아나톨리아 반도 동부로 집결시켰습니다.


  • 하카리 인종청소

오스만 제국 아시리아인 민족 분포 지도
아시리아인 민족 분포 지도

아시리아인들의 민족 성지인 하카리ܚܟܐܪܝ 산은 아나톨리아 반도 동부에 위치해 있었고 캅카스 전선의 각축장이었습니다. 1914년 10월 26일 오스만 제국이 전쟁을 선포하기 전 오스만 제국의 내무부 장관인 탈라트 파샤는 카자르 제국 영토에 인접한 곳에 있는 아시리아인들을 제거하라고 명했습니다. 아시리아인들은 러시아 제국에 호의적이었고 오스만 제국은 그들을 러시아군에 동조할 잠재적인 적으로 바라보았습니다. 그래서 탈라트 파샤 내무부 장관은 잠재적인 적을 사전에 제거할 것을 명했고 오스만군은 국경지대의 아시리아인들을 학살했습니다. 마침 그곳에는 아시리아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했고 오스만군은 기독교 마을을 발견하면 침입해 사람들을 학살했습니다. 1914년 벌어진 기독교인 학살로 수많은 아시리아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이 학살당했습니다.

오스만 제국 아시리아인들이 숨은 고지대
아시리아인들이 숨은 고지대

아시리아인들은 대학살을 경험한 후 자경단을 결성해 스스로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고 1915년 5월 자경단을 결성하고 러시아군에게 군사지원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동부전선에서 동맹군의 침공을 막아야 했던 러시아 제국은 병기가 부족했고 아시리아 자경단에게 무기 지원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아시리아인 자경단은 스스로 러시아군에 소속해 아시리아 마을과 아르메니아 마을을 지켰습니다. 오스만군에 소속된 쿠르드군은 1915년 6월 아시리아인들이 잔존하는 하카리ܚܟܐܪܝ 산 인근 고지대를 침공했고 러시아군에 소속된 아시리아인 자경대는 쿠르드군에 대항해 전투를 벌였습니다. 하지만 병기 부족에 시달리던 아시리아인 자경단은 쿠르드군의 상대가 되지 않았고 하카리ܚܟܐܪܝ 인근 고지대를 상실했습니다. 아시리아인들은 학살을 피해 더 높고 깊은 캅카스 산맥으로 도망쳤고 빠르게 도망치느라 식량을 제대로 챙기지 못해 피난길에서 수많은 아시리아인들이 사망했고 무사히 피난한 이후에도 춥고 험준한 캅카스 산에서 식량을 구할 수 없어 많은 사람들이 아사했습니다.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대학살

아제르바이잔에서 아시리아인 대학살
아시리아인 대학살

전세계로부터 위협적인 국가로 평가받던 러시아 제국은 1914년 말 동부전선 공세에서 대실패하며 러시아군 전체가 휘청거렸습니다. 캅카스 전선의 러시아군은 동부전선으로 투입되었고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군으로 자원했지만 병력 면에서 오스만군에게 열세였습니다. 오스만군은 1915년 1월 공세로 러시아군이 지키던 카자르 제국의 아제르바이잔을 점령했고 아제르바이잔을 무슬림의 땅으로 만들려고 했습니다. 쿠르드군은 아제르바이잔의 기독교 세력을 학살했고 아시리아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이 학살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의 지배국이었던 카자르 제국은 카자르군을 아제르바이잔으로 파병해 오스만군의 학살을 멈추게 하려고 시도했지만 약소국인 카자르 제국의 카자르군은 오스만군에게 무시당했고 어떤 실권도 행사하지 못했습니다. 오스만군 소속의 쿠르드군은 1915년 5월까지 아시리아인들을 학살했고 이후 러시아군의 진격에 후퇴하면서 아제르바이잔에는 더 이상 피가 강을 이루지 않게 되었습니다.


  • 디야르바키르 대학살

디야르바키르 대학살에서 도망친 아시리아인
살기 위해 피난가는 아시리아인

한편 1914년 말부터 1915년 초까지 인도원정군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느리지만 꾸준히 진격하고 있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인도원정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오스만군을 빨리 메소포타미아로 투입할 수 있는 도로를 건설해야 했고 비무슬림 오스만군 병사들이 도로 공사에 차출되며 뜨거운 낮과 추운 밤 동안 노동 착취를 당했고 많은 비무슬림 오스만군 병사들이 사망했습니다. 이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비무슬림들이 항의했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비무슬림의 주류였던 아시리아인들이 항의를 주도했습니다. 이에 오스만 제국은 아시리아인들을 국가의 반역자로 낙인찍고 1915년 4월 1일 메소포타미아에서 아시리아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디야르바키르 ديار بكر에서 아시리아인들을 학살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아시리아인 학살 지도
아시리아인 학살 지도

학살은 1915년 4월 내내 이루어졌고 아시리아인들은 살기 위해 카자르 제국으로 도망쳐 영국령 인도제국에게 보호를 요청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아시리아인 난민 반환을 요구했지만 영국령 인도제국은 오스만 제국의 요구를 거절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이 기회로 오스만 제국의 아시리아인들이 카자르 제국으로 모두 이동한다고 생각하며 더 이상 영국령 인도제국을 추궁하지 않았습니다. 오스만군은 디야르바키르 ديار بكر에서 아시리아인들을 제거한 후 시리아 지역으로 이동해 잔존 아시리아인들을 학살하거나 추방했습니다.


  • 1915년 5월 삼국협상 선언

1915년 삼국협상 5월 선언문
1915년 삼국협상 5월 선언문

오스만 제국은 1914년 개전 때부터 제국의 기독교인들을 조직적으로 학살했습니다. 이에 기독교 국가인 러시아 제국과 대영제국, 프랑스 제3공화국은 항의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기독교인 제거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은 러시아 제국과 영국령 인도제국에 도움을 청했고 러시아 제국은 동방 정교회를 수호하기 위해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의 호소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1915년 4월 27일 주 러시아 제국 미합중국 대사관의 게오르게 페트로비치 바크메테프 외교관은 워싱턴의 우드로 윌슨 미합중국 대통령을 만나 오스만 제국 영토 내에서의 기독교인 학살 중지에 동참할 것을 요청했고 우드로 윌슨 미합중국 대통령은 요청을 수락했습니다. 4월 28일에는 프랑스 제3공화국의 테오필 델카세 프랑스 외교장관은 오스만 제국에 대한 응징을 약속할 것을 주장하며 러시아 제국의 주장에 동의했고 5월 3일에는 대영제국의 조지 5세도 동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러시아 제국은 선언문을 준비했고 1915년 5월 24일 삼국협상 선언을 발표해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 영토에 아시리아 민족국가와 아르메니아 민족국가 건립을 약속한다고 선언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당연히 선언에 항의했고 이후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을 학살한 것을 부정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