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전구62

[아랍 봉기: 생 장 드 마리안느 협정] 완성된 사이크스-피코 협정 오스만 제국 분할안 러시아 제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 대영제국 세 협상국은 1916년 오스만 제국의 분할안을 결정했습니다. 러시아 제국은 콘스탄티노플Константинополь과 아르메니아Армения를 원했고 대영제국은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 지역을, 프랑스 제3공화국은 시리아Syrie 지역을 원했습니다. 대영제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 러시아 제국은 1916년 4월부터 10월까지 비밀 편지를 주고받으며 영토 분할에 대해 논의했고 분할할 영토를 확정했습니다. 그리고 1916년 이탈리아 왕국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상대로 끊임없는 소모전을 유도하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병력을 소모시켰고 삼국 협상국은 이탈리아 왕국의 전투 공로를 인정해 이탈리아 왕국에게 상을 주려고 했습니다. 생 장 드 모.. 2022. 4. 1.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선: 남팔레스타인 소모전] 공세를 위한 전초전 대규모 소모 작전 이집트원정군은 두번의 가자 전투에서 패배해 오스만군의 전력을 확인했습니다. 이집트원정군은 오스만군을 쉽게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직감했습니다. 더불어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고 러시아 공화국이 건립되면서 러시아 남부는 붕괴되었고 수많은 자치 정부들이 들어서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덕분에 오스만 제국은 캅카스 전선의 병력 일부를 메소포타미아 전선과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선, 헤자즈 아랍 봉기 진압에 투입할 수 있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전선에서 인도원정군은 훌륭한 성과를 냈지만 메소포타미아의 혹독한 환경은 인도원정군의 진격을 늦췄습니다. 때문에 인도원정군의 진격은 예상보다 매우 오래 걸렸고 전쟁을 빨리 끝내고 싶어했던 대영제국은 이집트원정권과 아랍 헤자즈군의 진.. 2022. 4. 1.
[아랍 봉기: 아카바 전투] 아랍의 희망 아랍 봉기 지도 https://www.youtube.com/watch?v=LVQDR86FqbI 아랍 봉기 전선 변화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는 고고학에 관심과 재능을 보인 영국인으로 옥스퍼드 대학을 수석 졸업한 그는 메소포타미아부터 이집트까지 이르는 아랍 지역의 고고학적 유물을 조사하기 위해 대영제국원정대의 일원으로 아랍 지역을 돌아다니며 고고학적 발굴을 행하고 아랍 문화를 배웠습니다. 1914년 대전쟁이 발발할 조짐이 보이자 대영제국 정부는 대영제국원정대에게 시나이سينا 반도를 조사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대영제국은 대전쟁이 발발하면 수에즈 운하를 보호해야 하고 때문에 오스만 제국이 침공할 수 있는 시나이سينا 반도의 지형에 대해 자료를 가져 시나이سينا 반도 방비를 강화하려고.. 2022. 4. 1.
[이란 전선: 이란 대기근] 약소국의 비애 전쟁터가 된 중립국 영토 카자르 제국은 1914년 7월 30일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중립국을 표방했고 러시아군과 인도제국군이 카자르 제국을 침공할 때도 중립국 위치를 고수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범튀르크주의를 외치며 카자르 제국의 아제르바이잔 거주 영토를 점령하려고 진격했고 러시아 제국과 영국령 인도제국은 오스만 제국의 진격을 막기 위해 카자르 제국을 무단 침공했습니다. 대전쟁이 발발하기 전 카자르 제국에 파병된 독일군과 스웨덴군은 카자르 제국의 중립을 지켜야 했으나 병력 수가 적어 러시아군과 인도제국군 연합군과의 충돌을 피했습니다. 더불어 독일군은 동맹군으로서 오스만군과 협력 관계였고 카자르 제국은 러시아 제국과 영국령 인도제국을 적으로 보고 오스만 제국을 동지로 여겼기 때문에 독일군은 이란군을 .. 2022. 3. 31.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선: 제1/2차 가자 전투] 오스만 제국의 입구 사막을 가로지른 철도 이집트원정군은 1917년 2월 시나이سيناء 반도에서 잔존 오스만군을 소탕하고 시나이سيناء 반도를 장악했습니다. 하지만 척박한 땅이었던 시나이سيناء 반도는 물이 부족했고 대규모 병력이 이동하기에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시나이سيناء 반도의 보급선은 열약했고 오스만군은 시나이سيناء 반도의 열약한 보급선에 수에즈 운하를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이집트원정군에게도 해당되어 이집트원정군은 팔레스타인فلسطين을 눈앞에 두고 식수와 병기 보급 부족에 진격하지 못하고 멈췄습니다. 그래서 이집트원정군은 보급로를 개척하기 위해 낙타 수송부대로 나일강에서 엘 아리스العريش로 식수를 먼저 보급했고 수에즈 운하에서 엘 아라스العريش를 거쳐 가자 앞까지 철도를 부설했습니다. 반면 오.. 2022. 3. 31.
[메소포타미아 전선: 사마라 공세] 오스만 제국에 박힌 쐐기 카다이리 전투 1916년 12월 인도원정군은 오스만 제국 남부의 심장부인 바그다드بَغْدَاد를 다시 한번 노렸습니다. 인도원정군은 1916년 3월 공략에 실패했던 쿠트ٱلْكُوت로 다시 향했습니다. 프레드릭 스탠리 마후드 사령관 휘하의 인도원정군 15만 병력은 지난 공세 때와 동일하게 강을 타고 북상했지만 추운 겨울 강풍과 폭우는 인도원정군의 진군을 어렵게 만들었고 강가의 추위로 인도원정군들 중 병을 얻은 병사들이 생겨났습니다. 인도원정군은 힘겹게 강을 따라 북상했고 1916년 12월 22일 쿠트ٱلْكُوت 북부의 카다이리خديري 요새에 도착했습니다. 오스만군은 티그리스دجلة 강을 따라 북상하는 인도원정군의 진격로를 예상했고 티그리스دجلة 강가인 카다이리خديري 요새에 참호진을 구축해 포위.. 2022.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