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전구62

[남아라비아 전선: 라헤즈 전투] 포위된 아덴 항구 카마란 침공작전 1915년 2월 17일 영국령 인도제국 아덴 지방정부는 다우선을 이용해 영국령 인도제국 본국과 통신을 하던 도중 오스만 제국 해군에게 다우선은 노획당했습니다. 아덴 지방정부가 다우선에 실은 물건은 막대한 현금과 기밀정보를 담은 문서들이었고 아덴 지방정부는 다우선 안의 기밀문서가 오스만 제국에게 넘어가지 않게 무슨 수를 써야 했습니다. 그는 홍해 한가운데에 있는 카마란كمران 섬을 점령해 오스만 제국 해군 함선의 이동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그는 카마란كمران 섬을 점령하게 위해 엠프레스 오브 러시아 여객선, 엠프레스 오브 아시아 여객선과 민토 순양전함을 동원했습니다. 영국령 인도제국 군부는 그 작전을 승인했고 인도제국의 부왕에게 작전승인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인도제국 부왕은 작전승인.. 2022. 3. 28.
[갈리폴리 전선: 연합군의 공세] 암벽 위의 참호선 제1차 크리티아 전투 1915년 4월 25일 헬레스 곶에 상륙한 영국군은 크리티아كريثيا로 진격을 시도했지만 오스만군의 저항에 가로막혀 진격하지 못하고 멈췄습니다. 영국군은 병력이 적에 비해 열세라고 판단했고 프랑스군의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이에 따라 프랑스군이 헬레스 곶에 지원병력을 보냈고 영국군의 참호에 진입했습니다. 영국군은 프랑스군이 우익을 보호하는 동안 좌익으로 돌격해 크리티아كريثيا를 점령하기로 했습니다. 1915년 4월 28일 대영제국 왕립 해군 전함들이 함포사격을 가했고 영국군은 일제히 돌격했습니다. 허나 영국군은 점령지의 위치를 몰랐고 길을 잃고 우왕좌왕하다 기회를 놓쳤고 해군 함포 사격이 끝나자 오스만군은 참호에서 나와 방어진을 치고 영국군을 공격했습니다. 영국군은 오스만군의 기.. 2022. 3. 25.
[갈리폴리 전선: 갈리폴리 상륙작전] 연합군의 대규모 상륙작전 앤잭ANZAC의 등장 1914년 대전쟁이 터지자 대영제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제국과 뉴질랜드에 자원병을 모집했고 태평양의 자원병을 서부전선으로 파견해 독일군에 대항해 싸우게 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제국군과 뉴질랜드원정군은 끊임없이 소집되어 서부전선으로 파병되었고 1915년 대영제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제국군과 뉴질랜드군의 일부를 다른 전선에 파병해도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존 키치너 대영제국 전쟁 장관은 이안 스탠디쉬 몬테이스 헤밀턴 장교를 대영제국 지중해 원정군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오스트레일리아 제국군과 뉴질랜드원정군의 병력 일부를 지중해 원정군으로 편성했습니다. 이후 그는 해당 부대를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 줄여서 앤잭ANZAC으로.. 2022. 3. 25.
[인종청소: 보탄 쿠르드 봉기] 불신이 낳은 봉기 오스만 제국의 협력자 1914년 11월 14일 오스만 제국이 지하드جهاد를 선포한 후 쿠르드족 전사들은 오스만군에 소속되어 캅카스 전선과 이란 전선 등 중동 전선에 참전했습니다. 쿠르드 전사들은 캅카스 전선과 메소포타미아 전선, 이란 전선에서 러시아군, 대영제국 소속 인도원정군과 전투를 벌이며 이교도들을 물리치고 무슬림들을 해방시켰습니다. 하지만 오스만군은 러시아군과 인도원정군보다 열세였고 전선은 오스만군에게 불리하게 돌아갔습니다. 더불어 러시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의 편에 서 러시아군을 공격하는 쿠르드 민족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러시아 제국은 끊임없이 쿠르드 민족에게 독립을 지원한다는 비밀 제안을 했고 영국령 인도제국 역시 가세해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 쿠르드 민족 독립국을 건국해주겠다는 제안을 했.. 2022. 3. 25.
[오만 봉기: 이맘국의 7월 봉기] 독일제국과 대영제국의 대리전 독일제국의 개입 1915년 독일제국은 서부전선에서 참호진을 구축해 프랑스군과 영국원정군의 공격을 모두 막아내며 동부전선에서 러시아군을 밀어내고 있었습니다. 독일제국 군부는 서부전선에서 예상보다 연합군의 공격을 더 잘 버터내고 동부전선의 러시아군이 생각보다 약한 존재라는 것을 깨달았고 전쟁의 승리를 점쳤습니다. 더불어 중동전선에서 오스만 제국이 수에즈 운하 공격으로 대영제국을 위기에 빠뜨리자 독일제국은 만족하며 아라비아 지역에 있는 영국령 인도제국을 제거하려고 했습니다. 독일제국은 1914년부터 인도제국 안의 인도 독립운동을 지원하며 영국령 인도제국의 혼란을 유도했고 아라비아 반도의 영국령 인도제국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스카트-오만 술탄국을 멸망시키려고 했습니다. 독일제국은 1915년 4월 무스카트-.. 2022. 3. 25.
[인종청소: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저항과 과오 하미디안 대학살 아나톨리아 반도 동부에서 등장한 아르메니아는 초창기에 기독교를 받아들여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국교로 삼으며 성장했습니다. 아르메니아 왕국은 중세시대 대아르메니아 왕국을 건설해 아나톨리아 반도 동부 전체를 지배했고 대아르메니아 멸망 이후 아나톨리아 반도 동남부에 킬리카야 아르메니아 왕국을 건국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후로 이슬람 맘루크 왕조에게 정복당했고 튀르크인들이 아나톨리아 반도에 오스만 술탄국을 세우고 제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르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치하에 놓였습니다. 초창기 오스만 제국은 기독교 민족인 아르메니아인을 2등 신민으로 규정하며 우대했습니다. 하지만 수백년에 걸쳐 벌어진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이 발칸반도와 캅카스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자 오스만 제.. 2022. 3. 24.